본문 바로가기

Games/Design

게임 시스템 디자이너 게임을 만드는 것은 짐을 옮기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 기획자는 옮길 짐의 명단을 무작위로 생산해내는 일을 하며, 시스템 디자이너는 이 중 옮겨야 하는 짐을 선택, 분류하고, 이를 잘 정돈하며, 그래픽 디자이너는 분류된 짐을 이쁘게 포장하며, 프로그래머는 포장되어, 분류된 짐을 옮기는 일을 담당한다. 그 중 시스템 디자이너.. 내가 맡은 롤을 얼마나 잘 하느냐에 따라 깊이 있고, 재미있는 게임이 나올 수 있는 확률이 달라진다.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지만, 오랜 시간 동안의 고민과 연구도 필요하고, 그 시간 동안 견딜 수 있는 체력과 인내력도 요구되며,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의 적절한 판단을 할 수 있는 능력과, 개념적인 것들을 구체화 시킬 수 있는 능력.. 이 외 많은 것들이 요구되는 직업이다. 언.. .. 더보기
게임 수익 모델의 변화 (2) 게임의 수익 모델 중 가장 큰 두 분류가 매달 정기적인 비용을 요구하는 정액제.. 그리고, 특정 컨텐츠나 아이템 등을 사용하기 위해 비용을 요구하는 부분 유료화 모델.. 둘의 차이를 보면 전자는 한꺼번에 큰 비용을 소수 유저에게 요구하는 것이고, 후자는 작은 비용을 다수의 유저에게 각 상황 별 나누어 요구하는 것이다. 한 달 플레이를 하기 위해 29,700 원의 비용을 지불하고 해당 게임의 모든 컨텐츠를 사용하는 정액 요금제와, 한 달에 297 원의 컨텐츠를 100 개 사용하도록 만드는 것은 비용을 지불하는 유저가 같다면 동일한 매출을 발생시킨다. 그럼 297 원짜리 컨텐츠를 200 개 사용하도록 하면 어떤가..?? 개발자에게 정액 요금제라는 것은 왠지 모를 로망과도 같다. 완성된 게임을 큰 비용을 지불.. 더보기
게임 디자이너 준비하기 프로그래머를 지망하는 사람은 프로그램 공부를 한다. 즉,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도록 C, C++, JAVA 등의 문법을 공부하고, VS 등의 에디터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연습을 한다. 또, 그래픽 디자인을 하고자 하는 사람은 각 포지션에 맞는 데셍 등을 비롯한 원화 스케치 능력이나 해부학 등을 공부하고 3D 그래픽을 지망한다면 3D-MAX나 G-Brush 등의 툴을 연습하기도 한다. 그럼 혹시라도 이 글을 읽고 있는 게임 디자인(기획이라는 말은 너무 광범위하여 사용하기 어렵다)을 지망하는 당신은 어떤 공부와 준비를 하고 있는가..???? 예전 학교에서의 기억나는 과목 중 하나는 '시스템 프로그래밍'이다. 2학년 1학기에 있던 전공 선택 과목이었는데 알아들을 수 없는 말들과 지리한 수업 진행이지만 .. 더보기
게임 수익 모델의 변화 (1) 대부분의 게임에서 사용하고 있는 수익 모델은 크게 정액 유료화 모델과 부분 유료화 모델로 구분된다. 기타 다른 것들도 있겠지만 크게 분류한다면 이 두 가지가 전부라 해도 무방할 것이다. 유저들에게는 어떻게 느껴질지 모르겠지만 나만 그런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개발자들-특히 최근 MMO게임의 개발자들에게는 정액 상용화에 대한 로망이 있다. 부분 유료화 모델은 왠지 결과물-즉, 게임이 완성되지 않은 느낌이기 때문일까?? 그래서인지 카트라이더 이전 게임을 보면 리니지, 뮤, RF 온라인 등 정액 상용화 모델을 사용하는 게임이 대세였다. 리니지는 아직까지도 회사에 큰 수익을 안겨주는 게임이고 지금은 많이 감소하였지만 꾸준한 수익을 주고 있는 뮤. 그리고 부분 유료화 모델로 변경한 RF 온라인......... 그리고.. 더보기
문화 컨텐츠는 비평이 필요하다. 게임은 문화 컨텐츠이다. 그러므로, 게임은 비평이 필요하다. 게임을 만들어가면서 가장 힘든 부분.. 중 하나..!! 유저와의 괴리감이 아닐까..? ㅡ.ㅡa 다른 이유 없이 유저들의 불만을 들으면, 컨디션 다운 되는 개발자는 유독 나만일까..?? 최근 모 게임 웹진 사이트에서 개발자들에 대한 질책을 보던 중 재미있는 말을 봤다. "비평에 자격이 있는 것인가?" 없다. 문화 컨텐츠에 대한 비평에 무슨 자격이 필요한가..? 설사 특정 자격증이 있다고 해도(진짜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 것이 '게임 기획자 자격증' 보다 더 큰 의미를 가질 수 있을까..??? 다만, 아쉽고.. 개발자로써 마음 상하는 부분은 '제발 아는 부분까지만 비평해줬으면' 하는 작은 바램이다. 비평하는 사람들을 보면 대부분 일반 유저이다. 유저를 무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개발된 컨텐츠를 즐기는 것과,.. 더보기
게임 머니와 게임 내 경제. 그 의미.. 목적.. 1. 게임 머니 대부분의 게이에는 화폐가 존재한다. 포션을 사고, 무기나 방어구를 사고.. 또, 더 좋은 것을 원하고, 사게 되고.. 이 모든 게임 내 행위에 게임 화폐가 사용된다. 그만큼 게임 플레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그렇기에 현실 사회에서 통용되는 진짜 돈 - 현금으로 그 것을 사기도 한다. 2. 게임 내 경제 현실 사회에서의 돈이나 현물이 유통되고, 그 전반적인 것을 경제라 하듯이, 게임 내에서도 경제가 존재한다. 현실 사회에서 경제 행위의 발생 원인은 사람들의 욕망이라고 해도 과하지 않을 듯 하다. 게임 내 경제도 이와 마찬가지다. 다른 사람보다, 혹은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 보다 더 좋은 것을 계속적으로 원하기에 그 것을 구하기 위한 노력을 하거나, 그 것을 다른 사람으로부터 구입하기 위.. 더보기
게임 기획이 만만해보이더냐..!!!! 게임계에서 일한지 어느덧 만 5년도 훌쩍넘어버렸다. 초기 다른 사람에게서 일을 받고 그 사람의 일을 보조하는 일명 서브 기획의 위치에서 시작하여, CB, OB를 거치며 단독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위치로.. 또, 주변 사람들이 떠남으로 인한 반 강제적인 원인으로 모든 기획 업무를 검토해야만 하는 위치까지.. 그리고, 새로운 프로젝트의 초기부터 메인 디자이너로서의 역할을 하는 현재 위치.. 우연히 본 일명 어설픈 전문가(그래봐야 현업 경험은 전무한 아마츄어)들의 불평을 듣게 됐는데 게임 업계로의 진입 장벽이 너무 높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물론 게임 개발이라는 것이 정해진 시간 내에 일정 결과를 도출해야하는.. 정해진 시스템으로부터 결과물이 산출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의 결과물이 사람(개발자)에게서 산출되.. 더보기
사람이 달리고 걷는 속도는 얼마일까? 마라톤 선수의 평균 달리기 속도를 알아보자. 2.195 km 를 2h 10m 에 주파하는 마라톤 선수의 달리기 속도는 2 시간 10 분 = 130 분 = 7800 초 동안 42195m 를 달리므로 42195 / 7800 = 5.409615 (m / 초) 라는 엄청난 속도로 달린다. 실제 100 m 를 약 18.5 초에 - 보통 사람의 전력 질주와 비슷한 속도로 2 시간 10 분 동안 달리는 엄청난 속도이다. 실제론 이 것 보다 더 빠르게 달리는 마라톤 선수도 꽤 많다. 그럼 보통 사람의 달리기 속도와 이 사람이 마라톤 코스를 완주하기 위한 시간은? 개인 별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보통 일반 사람의 달리기 속도는 가우수 곡선에 의해 약 68.3 %의 사람이 매 시간 당 8 ~ 12 km 의 거리를 달린다... 더보기